스튜던트 t-검정에 근거한 확률을 반환합니다. T.TEST 함수를 사용하여 두 개의 표본이 같은 평균값을 갖는 두 개의 같은 모집단에서 추출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
구문
T.TEST(array1,array2,tails,type)
T.TEST 함수 구문에는 다음과 같은 인수가 사용됩니다.
- 
              array1 필수 요소입니다. 첫 번째 데이터 집합입니다. 
- 
              array2 필수 요소입니다. 두 번째 데이터 집합입니다. 
- 
              꼬리 필수 요소입니다. 분포 꼬리 수를 지정합니다. tails = 1이면 T.TEST는 단측 분포를 사용합니다. tails = 2이면 T.TEST는 두 꼬리 분포를 사용합니다. 
- 
              종류 필수 요소입니다. 실행할 t-검정의 종류입니다. 
매개 변수
| type | 실행할 검정 | 
| 1 | 쌍 | 
| 2 | 분산이 같은 두 표본 | 
| 3 | 분산이 다른 두 표본 | 
주의
- 
              array1과 array2의 데이터 개수가 다르고 type = 1(쌍)이면 T.TEST에서는 #N/A 오류 값이 반환됩니다. 
- 
              tails와 type 인수는 정수로 변환되며 소수점 이하는 무시됩니다. 
- 
              tails나 type이 숫자가 아니면 T.TEST에서는 #VALUE! 오류 값이 반환됩니다. 
- 
              tails가 1, 2 이외의 숫자이면 T.TEST에서는 #NUM! 오류 값이 반환됩니다. 
- 
              T.TEST에서는 array1과 array2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음수가 아닌 t 통계를 계산합니다. tails=1이면 array1과 array2가 동일한 평균을 갖는 모집단에서 가져온 표본이라는 가정하에 더 높은 t 통계가 나올 확률을 계산합니다. tails=2일 때의 값은 tails=1일 때 값의 2배이며 "모집단 평균이 동일하다"는 가정하에 t 통계의 더 높은 절대값 확률에 해당합니다. 
예제
다음 표의 예제 데이터를 복사하여 새 Excel 워크시트의 A1 셀에 붙여 넣습니다. 수식의 결과를 표시하려면 수식을 선택하고 F2 키를 누른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. 필요한 경우 열 너비를 조정하면 데이터를 모두 표시할 수 있습니다.
| 데이터 1 | 데이터 2 | |
| 3 | 6 | |
| 4 | 19 | |
| 5 | 3 | |
| 8 | 2 | |
| 9 | 14 | |
| 1 | 4 | |
| 2 | 5 | |
| 4 | 17 | |
| 5 | 1 | |
| 수식 | 설명 | 결과 | 
| =T.TEST(A2:A10,B2:B10,2,1) | 스튜던트 t-검정과 관련된 확률을 계산합니다. 이때 양측 분포를 사용합니다. | 0.196016 | 
 
                         
				 
				